top of page
판사

국가연구개발사업 제재처분 분쟁 전담센터 소개

국가연구개발사업이란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따라 중앙행정기관이 연구개발을 위하여 예산 또는 기금으로 지원하는 사업을 말합니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은 민간기업, 공공연구기관 및 대학 등 수 많은 기관에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수행을 하면서 법령이 정하는 부정행위를 하게 되면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연구자, 연구개발기관에게 연구개발비 환수뿐 아니라 참여제한, 제재부가금의 제재처분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재처분이 부적법하거나 부당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재처분 대상자( 연구자 또는 연구개발기관등)은 제재처분이 부과되기 전이라면 연구자권익보호위원회에 이의신청을 할 수 있고,  제재처분이 부과되었다면 행정법원에 집행정지 신청 및 취소소송을 제기 할 수 있습니다.

법률사무소 화음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제재처분 분쟁 전담센터를 설치하여 제재처분이 부과되기 전의 특별평가 단계부터 제재처분 사전통지, 이의신청 및 법원 소송 단계까지 모든 단계에서 연구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법률사무소 화음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제재처분 분쟁 전담센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문변호사이자 제재처분위원회의 위원 및 국가연구개발혁신법상의 연구자권익보호위원회의 위원으로서 활동하고 있는 대표변호사를 포함하여 해당 분야에서 많은 경험을 쌓아온 변호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너무나도 복잡한 국가연구개발 법령, 이 때문에 연구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연구자들과 제재처분으로 인하여 큰 곤란에 빠진 연구자분들 위해 저희 법률사무소 화음이 최선을 다해 도와드리겠습니다.

​​

​변호사 정재권 올림.

제재처분의 정의와 종류

  • 제재처분이란 제재처분 사유 발생시 연구자 또는 연구개발기관의 국가연구개발 활동에 대한 참여를 제한하거나 제재부가금을 부과하는 행정처분입니다. 이와 같이 국가연구개발혁신법상의 제재처분은 크게 참여제한과 제재부가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참여제한은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를 일정 기간 동안 제한하는 조치입니다. 최대 10년 이내에서 제한될 수 있으며, 모든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배제될 수 있습니다.

  • ​제재부가금은 연구개발비 부정 사용 등 위반 행위에 대해 부과되는 금전적 제재입니다. 이미 지급받은 연구개발비의 일정 배수 범위 내에서 부과될 수 있습니다. 

제재처분 및 이의신청 절차

1. 연구개발기관의 조사 검증 및 보고

  • 연구개발기관의 장은 소속 연구자 또는 연구지원인력의 부정행위를 알게 된 경우에 부정행위를 조사, 검증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한 후, 이에 대한 결과를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에게 보고해야 합니다.​(혁신법 제31조제2항, 시행령 제57조)

2. 제재처분 평가단의 검토

  •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제재처분을 하려고 할 때에는 제재처분평가단을 구성, 운영하여 제재처분의 필요성, 종류, 수준 등을 검토합니다(혁신법 제22조제1항). 보통 제채처분평가단의 구성 운영은 전문기관이 대행합니다.

3. 제재처분 사전 통지

  •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제재처분 평가단이 검토한 결과를 고려하여 관련자에게 개별적으로 제재처분의 내용 등을 미리 통지해야 합니다(혁신법 제33조제2항 각호).

4. 이의신청 및 제재처분 재검토

  • 사전 통지된 제재처분의 내용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제재대상자는 그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그 사유를 갖추어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에게 통지내용의 재검토를 요청하는 의견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혁신법 제33조제3항).

  • 재검토 요청을 받은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소속 연구자권인보호위원회에 검토를 요청하여 재검토를 받습니다(법 제33조제4항). 다만, 제재대상자가 연구자권인보호위원회가 아닌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의 재검토를 희망하는 경우는 그렇게 할 수 있습니다.

5. 확정 통보

  •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재검토 요청이 있었던 경우 연구자권익보호위원회의 재검토 결과 등을 고려하여 제재대상자로부터 재검토 요청 의견을 받은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제재처분의 종류와 수준을 결정하고 지체없이 그 내용을 관련자에게 통보해야 합니다.

6. 제재처분 등록 및 공개

  •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확정 통보한 내용을 모두 통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해야 하며, 이 중 5년 이상의 참여제한 또는 3배이상의 제재부가금 처분에 대해서는 이를 공개해야 합니다(혁신법 제33조제7항, 시행령 제62조)

7. 제재부가금 환수금 납부 

  •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환수금 또는 제재부가금을 기한까지 납부하지 아니하면 기간을 정하여 독촉하고, 그 지정된 기간 내에 환수금 또는 제재부가금을 내지 아니하면 국세 강제징수의 예에 따라 징수합니다(혁신법 시행령 제63조).

8. 제재처분 취소소송의 제기/집행정지 신청

  • 제재대상자(연구자, 연구지원인력, 연구개발기관등)는 제재처분을 확정통보받게 되었으나 제재처분 여부 또는 제재처분의 수위 등에 대해 다투고자 하는 경우 제재처분을 한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을 대상으로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참여제한과 같은 제재처분이 효력을 발생한다면 연구자 또는 연구개발기관은 향후 국가연구개발과제 공모에 지원할 수 없을 뿐 아니라, 현재 진행중인 국가연구개발과제에서도 참여가 제한되거나 중단해야 하므로, 설사 본소에서 승소한다고 하더라도 그때는 이미 회복할 수 없는 손해를 입게 될 우려가 큽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 대비하여 집행정지 신청을 통해 참여제한의 효력을 일시 정지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초고층
“법률사무소 화음은 국가연구개발 및 국책사업 분야에서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권익보호를 위해 성심성의껏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여러분의 소중한 권익이 온전히 지켜지는 그날까지 저희가 함께하겠습니다.

법률사무소 화음

대표변호사 정재권 배상.

정재권(2021프로필).jpg
흐릿한 동작

문의

법률사무소 화음 

bottom of page